반응형
WBC( white blood cell : 백혈구)
혈액에서 적혈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들을 일컫는다.
백혈구는 혈액을 원심분리할 때 혈장층과 적혈구층 사이에 흰색의 층 '버피 코트'를 형성하고 이 층의 색이 희기 때문에 백혈구라고 합니다.
골수에서 생성되거나 가슴샘 등에서 생성되며 수명은 백혈구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적혈구보다 크고, 무색의 핵이 있으며, 과립 백혈구ㆍ림프구ㆍ단핵구로 나눕니다.
식세포 작용, 면역 작용 기능이 있습니다.
백혈구 감별계수는 백혈구의 종류와 분포를 측정한 지수이다.
혈액에서 림프구, 큰 포식 세포 및 과립구의 분포 및 종류를 분석하여 수치로 표시합니다.
백혈구감소 현상은 백혈구 수가 감소하는 증상으로 면역 결핍이거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백혈구 수가 감소합니다.
Granulocyte (과립구)
과립구라는 이름은 백혈구 중에서 과립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유래되었다. 과립구는 염색했을 때의 염색되는 모습에 따라 다시 3가지로 분류된다.
과립이 붉게 염색되는 것을 호산구(eosinophil), 파랗게 염색되는 것을 호염기구(basophil),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는(황갈색으로 염색된다) 것을 호중구(neutrophil)라고 한다.
과립구는 백혈구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는데, 그중에서도 호중구가 90% 이상을 차지한다
생체의 방위를 맡고 세균, 이물 등이 침입했을 때에 이를 포착하고 효소작용에 의해 이물을 용해합니다.
호산구는 알러지와 아나필락시스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과립구의 뚜렷한 감소는 과립구 감소증으로 중독의 감염을 불러 일으킵니다.
lymphocyte : 림프구
림프구는 피를 만드는 과정인 조혈과정을 통해 조상세포인 조혈모세포가 림프구계 조혈 모세포로 분화, 성숙하여 만들어지게 되는 백혈구의 한 종류이다. 이렇게 성숙된 림프구는 크게 B림프구, T림프구와 자연살상세포로 나눌 수 있으며, 신체 내 면역 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전혈구 계산(complete blood count; CBC)이라는 혈액검사로 림프구의 수치를 총 백혈구수의 비율(%)로 나타낸다. 림프구의 증가는 림프구 증가증(lymphocytosis), 감소는 림프구 감소증(lymphocytopenia)이라고 한다.
림프구의 증가는 감염이나 내분질환, 림프성백혈병이 있을 수 있습니다.
림프구 감소증은 수술 또는 상해로 인한 감염 증세와 관련이 있습니다.
또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영양결핍, 만성 감염, 심장질환, 악성종양 등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구조된 아이도 구내염과 복막염의심으로 밥도 많이 안먹어서 영양결핍 원인도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다음 포스팅에서 나머지 수치에 대해 알아볼께요.
반응형
'고양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혈액검사 수치(적혈구)2 (1) | 2023.10.23 |
---|---|
고양이 혈액검사 수치(적혈구) (2) | 2023.10.23 |
고양이 혈액 검사 수치(간,신장,단백질) (1) | 2023.10.19 |
고양이 중성화 수술 시기 (5) | 2023.10.18 |
고양이 예방 접종 (1) | 2023.10.17 |